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혈압 정상수치

by hyetae89 2025. 4. 16.
반응형

혈압 정상수치

 

“혈압 130이면 괜찮은 거 아닌가요?”
“120/80이 정확히 뭔지 몰라서 그냥 넘겼어요.”
“건강검진 결과, 고혈압 경계라는데 정확히 기준이 어떻게 되죠?”

 

혈압은 우리 건강의 가장 기본적인 지표 중 하나지만,
많은 사람들이 정상수치가 뭔지 정확히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혈압의 정확한 정상 수치,
그리고 연령대별, 상황별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혈압이란?

**혈압(Blood Pressure)**은
심장이 피를 내보낼 때,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합니다.

  • 수축기 혈압(최고혈압):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을 내보낼 때의 압력
  • 이완기 혈압(최저혈압): 심장이 이완하며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압력

→ 일반적으로 120/80mmHg 형태로 표기되며,
첫 번째 숫자가 수축기, 두 번째 숫자가 이완기입니다.


2025년 기준 혈압 정상수치

 

분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정상 혈압 120 미만 80 미만
고혈압 전단계 (주의 단계) 120~129 80 미만
1기 고혈압 130~139 80~89
2기 고혈압 140 이상 90 이상
위험 단계 (고혈압 위기) 180 이상 120 이상

→ 혈압은 단 한 번 측정된 결과로 진단하지 않으며,
정기적 측정 + 생활습관 평가를 함께 봐야 합니다.


연령대별 혈압 참고 수치 (일반 성인 기준)

연령대 권장 혈압 범위
20~30대 110~120 / 70 ~ 80
40~50대 115~125 / 75 ~ 85
60대 이상 120~130/ 75~85
고령자·기저질환자 개인별 목표 혈압 조정 필요

 나이가 들수록 약간의 상승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면 고혈압 위험도 증가


왜 혈압 정상수치를 알아야 할까?

  • 고혈압은 별다른 증상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
  • 고혈압이 지속되면 → 심장질환, 뇌졸중, 신장질환 등 위험 증가
  • 조기에 혈압을 파악하면, 예방이 가능

→ 수치 기준을 알고 있으면
“지금 내 상태가 위험한 건지” 바로 체크 가능합니다.


Q&A – 혈압 정상수치에 대한 궁금증

Q. 혈압이 125/79인데 괜찮은가요?
A. 수축기는 경계선(고혈압 전단계)에 가깝지만,
이완기는 정상입니다. 생활습관 개선은 필요한 상태입니다.

 

Q. 100/65이면 너무 낮은 거 아닌가요?
A. 특별한 어지럼증이나 피로감이 없다면
낮지만 건강한 혈압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Q. 측정할 때마다 수치가 달라요. 왜 그런가요?
A. 스트레스, 식사, 카페인, 운동, 시간대 등에 따라 변동 가능.
아침 기상 후 안정된 상태에서 반복 측정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혈압은 하루아침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몸을 무너뜨리는 ‘조용한 살인자’라 불립니다.

 

그래서 정상 수치를 알고, 자주 확인하고, 조기에 조치하는 것
가장 중요한 건강 습관입니다.

 

당장 오늘부터라도 가정용 혈압계로 내 수치 체크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