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소득세 기준

by hyetae89 2025. 4. 15.
반응형

종합소득세 기준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그런데 ‘나는 직장인이니까 상관없겠지?’ 하고 넘겼다가
국세청에서 ‘신고 안 했어요?’라는 연락을 받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내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인지 기준을 정확히 몰랐기 때문”**이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소득 유형, 신고 기준선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말 그대로 여러 가지 소득을 한데 모아
한 번에 계산해서 신고·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종합소득’이란?

✔️ 사업소득
✔️ 근로소득
✔️ 이자소득
✔️ 배당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이렇게 6가지 소득이 종합 대상이 되며,
이 중 2가지 이상 소득이 있거나, 단일 소득이더라도 일정 금액을 넘으면 신고해야 합니다.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기준

✅ 아래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고 대상자'입니다:

  • 개인사업자(자영업자): 업종 불문, 매출 발생한 경우
  • 프리랜서(강사, 유튜버, 작가 등): 3.3% 원천징수 받은 소득
  • 임대사업자: 월세, 전세보증금 등 임대 수익이 있는 경우
  • 근로소득 2개 이상: 직장을 2군데 이상 다녔거나, 이직 시 연말정산 안 된 경우
  • 연금·이자·배당소득이 연 2천만 원 초과인 경우
  • 기타소득이 연 300만 원 초과인 경우

소득 유형별 신고 기준 요약

소득유형 신고 기준
사업소득 금액과 무관하게 신고 필요
프리랜서 연 1회라도 수입 발생 시 신고 대상
임대소득 월세 or 전세보증금 간주임대료 발생 시
기타소득 연 300만 원 초과 시
이자/배당소득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 초과 시
근로소득 2개 이상 or 연말정산 누락 시 신고 필요

종합소득세 기준을 모르면 생기는 불이익

  • 신고 누락 시 가산세 최대 20% 부과
  • 환급 대상임에도 신고 안 하면 돌려받지 못함
  • 국세청에서 ‘무신고자’로 분류돼 불이익 발생 가능

→ 내가 해당되는지 애매할 땐 **홈택스 ‘신고 도움 서비스’**나 소득 내역 조회를 활용해보는 게 좋습니다.


2025년 기준 특별히 주의할 점

  • SNS 마켓, 블로그 수익, 협찬 등 비사업자 활동도 신고 대상입니다.
    (국세청은 카드결제, 계좌이체, 플랫폼 매출 정보 모두 수집하고 있습니다.)
  • N잡 시대! 직장 + 부업 하는 사람은 대부분 신고 대상입니다.
    특히 3.3% 프리랜서 수입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꼭 신고해야 합니다.

Q&A – 종합소득세 기준 궁금증

Q. 근로소득만 있는데 왜 신고하라고 하죠?
A. 이자·배당·기타소득이 일정 금액 이상 발생했거나, 연말정산이 누락되었을 경우입니다.

 

Q. 자영업자지만 수입이 거의 없어요. 그래도 신고해야 하나요?
A. 예. 무조건 신고 대상입니다. 단, 납부할 세액이 ‘0원’일 수도 있지만 신고 자체는 의무입니다.

 

Q. 알바하면서 3.3% 뗐는데 그거도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프리랜서 수익이기 때문에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환급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매우 큽니다.


마무리

종합소득세 기준은 소득 종류, 발생 금액, 납세자 유형에 따라 모두 다르기 때문에
‘나는 해당 없겠지’라고 넘기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2025년에도 신고 대상 기준을 잘 체크해서
불이익 없이, 환급도 놓치지 않는 똑똑한 납세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